본문 바로가기
애완견정보

강아지 차멀미 이제 걱정 마세요! 원인부터 해결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by 레오와구르미네 2025. 6. 16.

나들이 가기 좋은 날씨에 사랑하는 댕댕이와 함께 어디든 다녀오고 싶으신 마음이 생깁니다. 하지만 우리 댕댕이가 차멀미를 한다면 걱정이 되어 쉽게 나가기가 힘듭니다. 편안하게 차를 탈 수 있도록 강아지 멀미의 원인과 대처 방법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강아지 멀미를 왜 할까요?

강아지가 차멀미를 하는 이유는 사람과 비슷하며 차량이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흔들림과 진동 때문에 귀 안의 평형기관이 자극을 받기 때문입니다. 특히 어린 강아지들은 평형기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멀미를 더 쉽게 느낄 수 있으며 차를 타는 경험이 병원에 가는 등 부정적인 기억과 연결되어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멀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2. 우리 강아지 멀미 증상 확인 방법

강아지 멀미 증상은 아이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모습을 보이며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인다면 멀미를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미세하게 몸을 덜덜 떨었습니다.
  • 계속해서 침을 흘렸습니다. 침 흘림은 멀미의 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 갑자기 하품을 자주 했습니다. 불안하거나 속이 좋지 않을 때 하품을 할 수 있습니다.
  • 불안한 듯 제자리에서 서성였습니다. 편안함을 느끼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구토 또는 헛구역질을 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멀미 증상입니다.

 

3. 멀미 증상 완화를 위한 준비: 탑승 전

차량 탑승 전 준비는 강아지의 멀미를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탑승 30분 전부터 금식했습니다. 위에 음식이 있으면 울렁거림이 심해져 구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물도 가급적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켄넬이나 이동장에 미리 적응시켰습니다. 밀폐된 공간에 불안감을 느끼는 강아지는 차량 이동 시 스트레스가 더 클 수 있습니다. 집에서 켄넬이나 이동장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간식이나 장난감을 넣어두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4. 이동 중 멀미 줄이는 방법

차량 이동 중에는 강아지가 최대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창문을 살짝 열었습니다. 답답함을 줄이고 신선한 공기를 순환시켜 멀미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창문은 5~10cm 정도만 열어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 안정된 장소에 태우고 앞쪽을 보게 했습니다. 차량용 카시트나 평소 사용하던 켄넬 등을 사용하여 강아지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앉아있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가능하면 앞쪽 창밖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차량 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했습니다. 너무 덥거나 추운 환경은 강아지의 스트레스를 높여 멀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자주 휴식을 취해주세요!

장거리 이동 시에는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차에서 내려 잠시 산책을 하거나 바람을 쐬게 해 주면 강아지의 긴장을 풀고 멀미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6. 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심어주기

강아지가 차를 타는 것을 즐거운 경험과 연결 짓도록 도와줘야 하며 차를 타면 항상 병원에만 간다고 생각하면 차에 대한 거부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짧은 거리를 자주 이동했습니다. 처음에는 집 주변을 짧게 이동하며 차에 익숙해지도록 했습니다.
  • 차를 타고 즐거운 장소에 갔습니다. 공원이나 애견 카페 등 강아지가 좋아하는 장소에 차를 타고 다녀오면서 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었습니다.
  • 차 안에서 간식이나 칭찬을 해주었습니다. 차에 타는 것을 보상과 연결하여 좋은 기억을 만들었습니다.

 

 

7. 멀미도 교육이 필요합니다

강아지가 차멀미에 적응하는 데는 시간이 걸립니다. 처음부터 장거리 이동을 시도하기보다는 짧은 시간, 짧은 거리부터 시작하여 점차 이동 시간과 거리를 늘려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가 차에 익숙해지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인내심을 가지고 교육해야 합니다.

 

8.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만약 강아지의 멀미 증상이 심하거나 개선되지 않는다면 수의사와 상담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의사는 강아지의 상태에 맞는 멀미약 처방이나 행동 교정 방법을 제안해 줄 수 있습니다.


강아지의 차멀미는 보호자의 노력과 관심으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방법들을 꾸준히 실천하여 사랑하는 댕댕이와 함께 즐거운 나들이 많이 다니시길 바랍니다.

2024.09.19 - [애완견정보] - 강아지와 함께 가는 제주도 여행! 강아지 비행기 탑승 방법 및 주의사항

2024.12.11 - [애완견정보] - 강아지가 거품침을 많이 흘릴때! 다양한 요인에 따른 원인과 해결 방법

댓글